Notice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관리 메뉴

별의감성

21년 만의 소비 최악의 기록, 내수 경제 위기 본문

일상 나눔

21년 만의 소비 최악의 기록, 내수 경제 위기

별의감성 2025. 2. 4. 04:55
728x90
반응형
출처:SBS뉴스



오늘 뉴스에서 국내 소비 시장이 21년 만에 최악의 상황을 기록했다는 경제적 현황이 보도 되었습니다.
소비감소는 2003년 카드 대란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로  
가계의 불안정으로인한 경기 침체를 반영하고 있으며,
현재의 정치적 혼란이 우리 경제 전반에 걸쳐 중요한
신호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관련된 뉴스내용을 바탕으로
내수 부진 원인에 대해 살펴보고 관심 가져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1. 소매판매 감소 현황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 대비 2.2% 감소했습니다.
이는 2003년 카드 대란 당시 -3.2%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소입니다.

[소매판매 감소 폭]

*2022년: -0.3%

*2023년: -1.5%

*2024년: -2.2%



출처:SBS뉴스




2. 소매판매 감소 원인

*김귀범 기획재정부 경제분석과장은
"지난 3년간 높은 금리가 지속되었고, 임금 상승폭이
적었던 점이 소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
또한, 정치적 불확실성과 물가 상승도 소비심리를 위축 시킴.

*고금리 여파: 높은 이자율로 인해 가계의 소비 여력이 감소.

*물가 불안: 필수 소비재 가격 상승으로 소비 심리 악화.


*정치적 혼란: 지난해 말부터 시작된 정치적 불안정이
   소비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


3. 정부의 대책과 한계

*기준금리 인하 효과 미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2024년 12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6% 감소.

*소비진작책 한계: 단기적인 정책 효과에 의존하는 경향.


출처:SBS뉴스





4. 미래 전망

내수 시장의 회복을 위해서는 구조적인 접근이 필요함.
전문가들은 금리 정책 외에도 장기적으로 소비 심리를
강화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있음.








소매판매 감소는 단순한 경제적 지표의 하락을 넘어,
가계와 기업 전반에 걸친 경제적 어려움을 반영하고
무엇보다 우리의 일상과 직결된 중요한 문제입니다.
정부의 정책적 노력과 더불어 국민적 합의를 통한 구조적인 변화가 있어야지만  향후 소매판매 회복의 열쇠가되어
소비자 심리 회복이 될수 있다는 점을 꼭 기억하며
지속적인 관심과 논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