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Link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관리 메뉴

별의감성

놀이 공간 확보를 위한 학교 운동장, 체육관 개방 :서울시 지원 사업 본문

꿈꾸는 별들

놀이 공간 확보를 위한 학교 운동장, 체육관 개방 :서울시 지원 사업

별의감성 2025. 2. 13. 02:14
728x90
반응형

 

1. 주말에는 닫힌 교문 : 아이들의 놀이 공간 부족
최근 주말마다 아이들이 학교 운동장에서 친구들과 축구를 하고 싶어도, 
교문이 자물쇠로 잠겨 있어 들어가지 못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아이들은 담을 넘어 운동장에 들어가 공을 차는 모습도 보입니다. 
과거에는 안전 관리를 해 주시는 수위 아저씨께서 상주하셨지만, 
요즘은 주말까지 근무하기에는 인건비 부담이 커졌습니다. 
또한, 학교 문을 열어두면 외부인 및 학생들의 출입으로 안전사고 발생의 경우,
학교 연대 책임이 따를 수 있어, 학교장 재량으로 교문을 닫을 수밖에 없는 실정 입니다.


2. 서울시의 학교 운동장 개방 지원 사업
이러한 상황에서 서울시는 지역 주민들에게 2년 이상 체육시설을 개방하는 
학교에 대해 최대 5천만원의 지원금을 제공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원 항목은 체육시설 개·보수 비용부터 보안시설 설치 비용까지 포함 됩니다. 
2025년 총 예산은 25억원으로, 참여를 원하는 학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서울시로부터 보조금을 지원받아 체육시설을 개방한 학교는 157곳이며, 
이 학교 대부분은 의무 개방 기간인 2년이 지난 후에도 지속적으로 시설을 개방하고 있습니다.

 

 



3. 아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한 놀이 공간의 중요성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공간은 신체 발달과 사회성 향상에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현재 많은 아이들이 비용을 지불하거나 축구 교실에 등록해야만 운동할 수 있는 현실입니다. 
놀이 시설이 부족하여 현금 사용이 없다면 갈 곳이 없어 방황하는 초등학생 고학년 아이들이 많습니다. 
학교 운동장이 개방된다면 아이들은 안전한 환경에서 축구나 농구 등 다양한 활동을 즐길 수 있을 것입니다.


4. 학교 운동장 개방을 위한 지역 사회의 노력
서울시와 교육청은 학교 체육시설 개방 활성화를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북구와 서울시교육청은 '학교 체육시설 개방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여, 
수업이 없는 토요일과 일요일에 학교 체육관과 운동장을 주민들에게 개방하고, 
해당 시설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스쿨매니저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5. 모두의 노력으로 아이들에게 안전한 놀이 공간을..
아이들이 안전하게 놀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은 지역 사회 전체의 책임입니다. 
학교 운동장 개방을 통해 아이들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으며, 
지역 주민들도 함께 시설을 활용하여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의 지원 사업과 같은 노력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어, 
모든 아이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바랍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QGUhd_gQWCc

 

반응형